• 행복연구소
  • 외도상담
  • 외도상담일지
  • 개발심리이론
  • 심리교육센터
  • 고객센터
  • 무료상담신청
  •  
     
    작성일 : 25-08-16 11:28
    [전문가기고문] 칼럼) 부모의 외도는..
     글쓴이 : 행복연구소
    조회 : 24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10244

    주제 : 아버지의 외도, 딸의 정체성과 신뢰의 붕괴


    소주제 : “그날 이후, 딸의 세상은 무너졌다.”



    1. 가정이라는 이름의 성역이 무너질 때


    가족은 아이에게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공간입니다. 특히 딸에게 있어 아빠란 존재는 세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틀 중 하나입니다. 존경과 안정, 보호를 상징하는 그 틀 속에서 아이는 세상을 배우고 관계를 형

    성해 나갑니다. 그런데 어느 날, 아빠가 외도라는 이름으로 무너지면 어떻게 될까요? 딸은 아빠가 

    한 남자로 보이기 시작합니다. ‘존경의 대상에서 역겨움과 혐오의 대상으로 변해버린 이 감정은,

    순한 배신감을 넘어서 세상의 남성 전체에 대한 신뢰 붕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리학자 Judith 

    Herman은 그녀의 저서 Trauma and Recovery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트라우마의 핵심은 신뢰의 붕

    괴이다. 피해자는 세상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며, 모든 인간관계를 위협으로 인식하기 시작한

    .”


    딸에게 아빠의 외도는 트라우마입니다. 그 사건은 단순히 가족 내에서의 상처에 그치지 않고, 딸이 살아

    갈 세상에 대한 인식 전체를 흔들어 놓습니다.

     


    2. 신체 접촉에 대한 거부감, 연애 불가능의 상태


    많은 부모는 아이도 곧 잊어 버리겠지”, “시간이 약이야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외도로 인한 충격은 정

    서적 영역 뿐 아니라 신체적 반응으로 까지 나타납니다. 한 상담 사례에서는 아버지의 외도를 알게 된 

    , 손을 잡는 것조차 혐오스럽게 느끼고, 연애 감정 자체를 부정하게 된 딸의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남자가 다 그런 건 아니라고요? 저는 그렇게 못 느껴요. 다 역겨워요.”


    이는 정신분석학자 도널드 위니콧(D.W. Winnicott)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는 아이가 

    타인과의 접촉을 통해 신뢰를 경험하며 건강한 애착을 형성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이 기본 신뢰가 

    무너지면, 신체 접촉 자체가 불쾌한 것으로 변형됩니다. 딸은 자기 안의 애착 시스템이 붕괴한 채 성장

    하고 있는 것입니다.

     


    3. 엄마는 딸에게 기댈 수는 없습니다.


    남편 외도로 엄마는 누구보다 힘이 듭니다. 가장 믿고 가까운 사람에게 배신당했고, 누구보다 위로받고 

    싶습니다. 그 마음은 충분히 이해됩니다. 그러나 딸에게 알아달라고 하거나 위로를 요구하거나 기대하

    는 순간, 딸은 또 다른 피해자가 됩니다. 그러다가 엄마가 딸에게 그래도 너희 아빠와 다시 잘 지내보

    려 한다.” “조금만 이해해 줄 수 없겠니라고 말하는 순간, 딸은 자신의 상처가 무시당했다고 느끼며,

    모 모두에게서 정서적으로 단절되기 시작합니다.


    가족 치료의 거장 머리 보 웬(Murray Bowen)가족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개별적인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말합니다. 이 말은, 엄마와 딸이 각자의 상처를 개별적으로 돌볼 필요가 있

    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4. 딸이 부모의 관계에 개입하게 되는 메커니즘


    외도의 여파 속에서 딸이 엄마, 아빠와 이혼해라고 강하게 요구하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그럴 때 많

    은 엄마는 왜 네가 이 문제에 끼어들어?”라며 딸을 원망합니다. 하지만 이때 돌아봐야 할 질문은 따로 

    있습니다.

    혹시 내가 너무 많은 얘기를 딸에게 했던 건 아닐까?”

    딸이 부모의 관계에 깊이 개입하는 경우, 그 배경에는 엄마가 딸에게 아빠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지나

    치게 많이 전달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아이는, 들은 만큼 판단하게 됩니다. 엄마가 매일 같이 아

    빠를 비난하고, 외도의 경과를 낱낱이 공유했다면, 딸은 심판자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심리학자 존 가트맨(John Gottman)은 이렇게 경고합니다. “자녀에게 배우자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어

    주는 순간, 아이는 부모 모두를 신뢰하지 않게 된다.”

     


    5. 딸에게 필요한 것: 사과와 복원 과정


    부모가 화해를 결심하더라도, 딸은 그것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감정의 문제가 아니

    라 신뢰 회복의 절차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딸은 그저 말 뿐인 화해가 아니라, ‘왜 이런 일이 일어났고’, 

    이후 아빠는 어떤 각오로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진정성 있는 설명과 사과의 말을 듣고 싶어 합니다.

    때 중요한 것은, 딸에게 무릎 꿇고 용서를 구하는 제스처가 아니라, 어른으로서 책임을 지는 태도입니

    그리고, 딸의 마음을 치유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며, 상담 치료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6. 이혼이냐, 화해냐, 답은 중심을 잡는 엄마에 달려 있다.


    남편 외도로 엄마는 흔들릴 수 있습니다. 인간이기 때문에. 오랜 세월, 정서적 의존, 경제적 이유 등으로 

    다시 관계를 복원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결정을 딸이 해주기를 바라서는 안 됩니다. 딸이 아

    무리 이혼해, 엄마라고 해도, 그건 엄마가 딸에게 지나치게 감정을 공유했기 때문입니다. 지금, 이 순

    간 필요한 건 결정이 아니라, 중심을 잡는 일입니다.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다. 나는 아직 고민 중이다. 하지만 이건 나의 문제고, 너에게 짐 지우고 

    싶지 않아.” 이렇게 말하는 엄마의 태도가 딸에게는 가장 큰 울타리가 될 수 있습니다.

     


    - 가정이라는 세계가 무너진 아이는, 다시 세상을 믿을 수 있을까? 해답은 부모에게 달려 있습니다.

    히 엄마가 자신의 상처를 딸의 위로로 덮으려 하지 않고, 스스로 삶을 회복해 가는 모습을 보여줄 때,

    은 비로소 믿음이라는 언어를 다시 배우게 됩니다. 이 글은, 외도 라는 사건보다 그 이후의 대응이 얼마

    나 중요한 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아빠가 다시 아빠로 돌아오고, 엄마가 다시 엄마로서 자녀의 울타리가 되기 위해, 가족은 단단한 반성과 

    정직한 소통, 그리고 책임 있는 태도를 함께 배워야 합니다.

     


    행복연구소 상담법인 권다미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서비스이용약관 | 업무제휴문의

    본 사이트에 있는 모든 내용은 행복연구소(주)에 저작권이 있으며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사용을 금합니다.
    행복연구소(주)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213 (신사동) 3층 | 구주소 :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587-13
    Tel : 02)418-3003 | Fax : 02)418-3093 | 사업자번호 : 106-86-84108
    통신판매번호 : 강남-02229호 | 대표이사 : 권다미 | 개인정보책임자 : 권다미 | 대표이메일 : dami38@hanmail.net       LOGIN

    select count(*) as cnt from rpb_login where lo_ip = '216.73.216.103'

    145 : Table '.\renuwal\rpb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bbs/board.php